서해안에서 조개잡이나 해루질, 갯벌 체험을 하려면 반드시 먼저 ‘물때표’를 확인해야 한다. 하지만 초보자들에게는 물때표가 너무 복잡해 보이고, 어디서 어떤 정보를 확인해야 할지 몰라 막막한 경우가 많다. 실제로 인터넷에 "서해안 물때표 보는 법"을 검색해 보면 정보가 분산돼 있거나, 전문 용어만 나열되어 있어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해안 기준 물때표를 보는 방법과 실제 활용 가능한 사이트를 총정리해본다. 특히, 낚시나 해루질, 조개잡이에 적합한 간조 시간을 어떻게 확인하는지와, 모바일에서도 빠르게 확인 가능한 실시간 사이트와 앱까지 실제 경험을 기반으로 정리했다. 이제는 해루질 날짜를 물때에 맞춰 계획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이 글을 따라 해보자.

1. 물때표란 무엇인가?
물때표는 하루 중 바닷물의 들어오고 나가는 시간과 높이를 정리한 표다. 기본적으로 하루에 2번의 만조(바닷물이 가장 높은 시점), 2번의 간조(바닷물이 가장 낮은 시점)가 발생하며, 이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안전하고 효율적인 바다활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해안 갯벌 체험을 하려면 간조 시간 1시간 전부터 시작해, 간조를 지나기 직전까지가 가장 좋다. 이때를 놓치면 물이 금방 들어오기 때문에 위험하거나 채집이 어려워진다.
2. 서해안에서 꼭 확인해야 하는 물때 정보
서해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간조·만조 시간과 조위(수위)를 정확히 봐야 한다.
확인할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다:
- 간조 / 만조 시간
- 조위 (cm 단위로 표기됨)
- 조석 간격 (물의 흐름 속도 판단 기준)
- 초승달/보름달 (사리/좀물 기준)
📌 사리 때: 조수간만의 차가 가장 크며, 간조 시기가 아주 낮고, 해루질에 최고로 좋음
📌 좀물 때: 물의 차이가 적어 갯벌이 덜 드러남 → 채집 어려움
3. 서해안 물때표 확인 가능한 추천 사이트
아래는 서해안 지역의 정확한 물때를 제공하는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 목록이다:
✅ 국립해양조사원 - 바다누리
- 공식 해양 데이터 기반, 지역별 상세 정보 제공
- 전국 해역 물때 확인 가능, 신뢰도 최고
- URL: https://www.khoa.go.kr
✅ 바다타임닷컴 (https://m.badatime.com)
- 초보자에게 가장 친숙한 UI
- 위치 기반 물때 자동 제공
- 일자별 간조·만조 시간 및 조위 표기
- 특히 해루질, 조개잡이에 최적화된 형태로 정리되어 있음
✅ 네이버 물때 검색
- 네이버 검색창에 “[지역명] 물때표” 입력 시 바로 확인 가능
- 예: "태안 물때표", "서천 물때표", "군산 물때표" 등
- 간단하지만 조위 정보는 생략된 경우 있음
4. 물때표 보는 법 – 예시로 쉽게 익히기
예를 들어 7월 20일, 서해안 태안 기준 물때표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하자.
- 간조 05:20 (50cm), 17:45 (60cm)
- 만조 11:40 (820cm), 23:50 (800cm)
이 경우 해루질 시간은 오전 4:30 ~ 6:30 또는 오후 16:50 ~ 18:50가 적절하다.
간조 1시간 전부터 시작해 1시간 이후까지가 가장 안전하고 많이 잡을 수 있는 시간대다.
5. 물때표 확인할 때 주의할 점
- 지역 선택 필수: 서해안은 항구마다 시간 차가 크다. 태안과 군산의 간조 시간은 30분 이상 차이날 수 있음.
- 조위가 낮은 간조를 선택할 것: 같은 간조여도 조위가 60cm보다 낮은 시간이 해루질에 유리함
- 사리/좀물 주기 파악: 음력 기준으로 사리 시기인지 확인 후 날짜 선택



마무리: 서해안 물때표, 여행 전 필수 체크리스트
물때표는 서해안에서 해루질이나 갯벌 체험을 하려는 사람들에게는 생존 도구와도 같다. 단 30분의 차이로 채집량이 달라지고, 더 늦으면 물에 고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 누구나 스마트폰만으로도 지역별 물때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대다. 하지만 어디에서 어떻게 확인하고,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는지는 아직 모르는 사람이 많다.
이 글을 통해 서해안 기준 물때표 확인법과 활용법을 익혀두면, 앞으로 해루질이나 조개잡이를 떠날 때 더욱 알차고 안전한 바다 여행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