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를 잘 모르거나 발음을 모를 때, 검색이 막막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한자의 획순이나 부수도 기억나지 않아 더욱 난감하다. 이럴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 바로 ‘다음 한자 필기 인식 기능’이다. 글자를 그리기만 하면 유사한 한자를 자동으로 제시해주는 이 기능은 한자 초보자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갑자기 모르는 한자를 마주친 모든 사람에게 꼭 필요한 기능이다. 이 글에서는 다음 검색을 통해 한자를 직접 그려서 찾는 방법을 매우 구체적이고 단계별로 설명한다. 단순 설명을 넘어,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꿀팁까지 모두 포함했기 때문에 이 글 하나만 보면 누구나 쉽게 한자를 찾을 수 있다.
다음 한자 그려서 찾기 기능이란?
다음(Daum) 포털 사이트에서는 ‘한자 필기 인식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은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일부 PC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마우스나 손가락으로 직접 한자를 입력하면, 모양이 유사한 한자들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이 기능은 다음 사전(daum.net/dic)에서 제공되며, 정확한 발음, 뜻, 쓰임까지 바로 확인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 한자 그려서 찾기 방법 (스텝별 설명)
1. 다음 포털 사이트 접속
2. 검색창 오른쪽 ‘사전’ 아이콘 클릭
검색창 오른편에 있는 작은 책 모양 아이콘 또는 ‘사전’을 클릭한다.
또는 검색창에 바로 ‘다음 사전’을 입력해도 된다.
3. ‘한자 사전’ 메뉴 선택
다음 사전 홈페이지에서 상단 메뉴 중 ‘한자’ 또는 ‘한자사전’을 선택한다.
4. 필기입력 도구 실행
검색창 아래 또는 옆에 보이는 연필 모양 아이콘 또는 ‘필기입력기’ 버튼을 클릭한다.
모바일에서는 화면 하단에 필기 입력 아이콘이 자동으로 나타난다.
5. 마우스 또는 손가락으로 한자 쓰기
나타난 입력 창에 마우스로 직접 한자의 윤곽을 그린다.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 손가락이나 펜으로 써도 인식이 가능하다.



6. 유사한 한자 선택
입력한 모양에 따라 여러 개의 유사한 한자 목록이 화면 오른쪽 또는 아래에 나타난다.
그 중에서 자신이 찾고자 하는 한자를 클릭한다.
7. 한자의 뜻과 발음 확인
선택한 한자의 뜻, 음독/훈독, 단어 예시 등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자동으로 해당 한자가 들어간 예문과 한자어까지 보여준다.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팁
문제 1. 한자가 잘 인식되지 않음
획순이 정확하지 않아도 되지만, 획을 겹쳐 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가능한 한 한 글자씩 정확한 크기로 써주는 것이 인식률을 높인다.
문제 2. 유사한 한자가 너무 많이 나옴
획수를 줄이거나 늘려 다시 입력해 보자.
부수(部首)를 기억한다면, 검색창에 부수 이름을 함께 입력해도 좋다.
문제 3. 모바일에서 입력창이 안 뜸
브라우저 설정 문제일 수 있다. 팝업 차단을 해제하거나 다른 브라우저(크롬, 사파리 등)로 접속해 보자.
다음 한자 필기 기능 활용 꿀팁
- 이미지로 저장된 한자를 읽고 싶을 때, 필기 인식을 이용하면 OCR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수험생이나 공무원 준비생은 모르는 한자를 직접 필기로 입력하면서 자연스럽게 복습할 수 있다.
- 글씨체가 예쁘지 않아도 인식 가능하므로, 걱정 말고 그려보자.
마무리 요약
‘다음 한자 그려서 찾기’ 기능은 매우 직관적이며, 한자 학습 및 일상생활에 큰 도움을 준다. 이 기능은 한자의 음을 모를 때도, 단순히 모양만으로도 검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강력하다. 필기 입력 기능을 잘 활용하면 사전 찾는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지고, 한자에 대한 이해도 더 깊어진다. 글을 읽은 모든 사람들이 이제는 당황하지 않고, 스마트하게 한자를 찾을 수 있게 되길 바란다.